기업개요
- 동사는 전기차용 배터리의 유형 중 파우치 배터리의 효율과 수명을 증진시키고, 배터리의 안전성을 보완하여 결과적으로 전기자동차의 안전성을 높이는 부품을 생산하여 납품함. 2016년 이차전지 Safety Solution업체로 탈바꿈하여 배터리셀 패드와 내화격벽을 현대 모비스, SK On, 그리고 관련 협력사들에 공급 중. 폭스바겐을 완성차제조 고객사로 보유하고 있기에 SKBA를 통하여 제품을 공급함.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4%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87.5% 감소. 주요 제품의 최종 고객사는 현대기아차그룹과 포드, 폴스타, 폭스바겐임. 동사 주요 제품의 직접 고객사로는 자동차 OEM 사와 관련된 1차 공급사들이 포진함. 전기차시장의 성장속도는 느려질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 성장의 방향성은 변하지 않을 것으로 보임.
주요 사업 내용
1. 배터리셀 패드 (Battery Cell Pad)
- 배터리셀과 모듈 간 완충 역할을 하는 부품
-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
- 열 전도성을 조절해 배터리의 과열을 방지
2. 내화격벽 (Thermal Barrier, Fireproof Shielding)
- 배터리 열 폭주(Thermal Runaway) 발생 시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역할
- 배터리 팩 내에서 화재가 번지는 것을 막아 전기차의 안전성을 강화
- SK온, 현대모비스 등 배터리 및 자동차 업체에 공급
3. 배터리 팩 부품
- 배터리 팩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고 내구성을 강화하는 제품
- 자동차 제조업체 및 배터리 셀 제조사에 납품
4. 신규 사업 및 확장 가능성
- 기존 내연기관 차량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배터리 안전 부품 시장도 성장 중
- 유럽 및 미국 전기차 업체와 협업 확대 가능성
- 차세대 배터리(전고체 배터리 등)와 관련된 신규 부품 개발 추진
최근 실적 및 재무 분석
최근 실적
- 2024년 1분기:
- 매출액: 241억 원
- 영업이익: -11.1억 원 (적자 전환)
- 당기순이익: -0.87억 원 (적자 전환)
- 2024년 2분기:
- 매출액: 164억 원
- 영업이익: 54.7억 원
- 당기순이익: 41.2억 원
- 2024년 3분기:
- 매출액: 276억 원
- 영업이익: 5.7억 원
- 당기순이익: 4.85억 원
2024년 1분기에는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에서 적자를 기록하였으나, 2분기부터는 흑자로 전환되었습니다. 3분기에는 매출액이 증가하였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전분기 대비 감소하였습니다.
재무 상태
- 2023년 연간 실적:
- 매출액: 1,189억 원
- 영업이익: 108억 원
- 당기순이익: 110억 원
- 자산총계: 924억 원
- 부채총계: 116억 원
- 자본총계: 808억 원
2023년 기준으로 이닉스는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부채비율은 약 14.4%로 비교적 낮은 수준입니다.
재무 비율
- 영업이익률: 9.1%
- ROE(자기자본이익률): 13.6%
차트 분석
상장 후에 장대음봉이 나타나며 강력한 매수세를 형성시켰고 거의 반년동안 하락하다가 대량거래가 실린 양봉이 나오면서 분위기 반전하는것에 성공했습니다. 기존에 매도 봉들을 살펴보면 길이가 짧은데 24년 8월에 나온 봉은 거래량도 그렇지만 봉 크기가 크죠. 그리고 위아래로 꼬리가 달린것도 인상적입니다. 하지만 그 이후에 주가는 또 다시 하락을 하고 있는데 자세히 보시면 아시겠지만 월봉 5일선을 터치하면서 하락중이고 12월달에 최저점인 7,850원을 찍고 꾸준히 상승중이긴 하지만 거래량 없는 상승이기 때문에 추가하락도 염두해둬야하는 상황이고 진입 타점을 잡는다면 9,700원을 넘어서 월봉을 마감시키느냐 겠습니다.
동그라미 친 부분이 매집봉이라고 가정했을때 지금 이렇게 횡보하는것은 큰 의미가 있습니다. 성질 급한 개인들 물량도 효과적으로 빼앗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수 있고 전기차 관련 테마가 다시 살아난다면 급등이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2024년 11월 음봉의 시가 위에서 마감하는 상황이면 돌파자리라고 봐도 되겠네요.
일봉에서의 움직임은 60일선과 20일선이 많이 내려왔고 120일선도 하락추세에서 고개를 틀 가능성이 엿보입니다. 만약에 진입을 염두하신다면 9,000원대를 지지하는것을 확인하시고 매수할것을 추천드립니다. 9천원대에서 지속적인 지지를 받는다면 조만간 큰 상승이 기대가 되는 자리라고 하겠습니다.
'종목 분석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목 분석실] 레뷰코퍼레이션(443250) (2) | 2025.02.27 |
---|---|
[종목 분석실] 아모그린텍(125210) 친환경 소재 강자의 성장 가능성은? (1) | 2025.02.19 |
[종목 분석실] KBI메탈(024840) (1) | 2025.02.10 |
[종목 분석실] 한전KPS(051600) "밀짚모자는 겨울에 사라" (2) | 2025.02.07 |
[종목 분석실] 삼성전자(005930) 반도체 대장주의 현재와 미래 (4) | 2025.02.06 |